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홈으로
생명나눔 추모관
사이트맵
주메뉴
장기기증의 필요성
장기기증과 이식
인체조직기증과 이식
조혈모세포 기증과 이식
제대혈 기증
기증자 예우
FAQ
기증희망 등록방법
기증 희망확인
기증 희망등록증 재발급
기증희망 신청서 발송요청(새창)
운전면허 기증희망표시
공동인증서 사용안내
장기기증희망
인체조직기증희망
인체조직기증자
장기기증
장기이식건
장기이식인원
이식대기자
조혈모기증희망
조혈모기증
조혈모이식
통계연보
관련법률및 규정·지침
생명나눔 용어설명
장기
조혈모세포
제대혈
인체조직
해외생명나눔 유관기관
희망의 씨앗소개
생명나눔 홍보관
희망의 씨앗 정책매거진
생명나눔 뉴스레터
생명나눔 뉴스
생명나눔 행사
민원
공지사항
설문참여
불법장기매매신고센터
장기기증자 차별신고센터
국외이식자신고방법
국외이식자신고확인
인사말
기관소개
조직소개
찾아오시는길
개인정보처리방침
생명나눔안내
장기기증의 필요성
장기기증과 이식
인체조직기증과 이식
조혈모세포기증과 이식
제대혈기증
기증자예우
FAQ
기증 희망등록
기증희망 등록방법
기증희망확인
기증 희망 등록증 재발급
기증 희망 신청서 발송요청
운전면허기증희망표시
공동인증서 사용안내
통계
장기기증희망현황
인체조직기증희망현황
인체조직기증자현황
장기기증현황
장기이식건현황
장기이식인원현황
이식대기자현황
조혈모기증희망현황
조혈모기증현황
조혈모이식현황
통계연보
자료실
관련 법률 및 규정·지침
생명나눔 용어설명
생명나눔 관련기관
장기
조혈모세포
제대혈
인체조직
해외 생명나눔 유관기관
홍보관
희망의씨앗 소개
생명나눔 홍보관
희망의씨앗 정책매거진
생명나눔 뉴스레터
생명나눔 뉴스
생명나눔 행사
민원
민원
공지사항
설문참여
불법장기매매신고센터
장기기증자 차별신고센터
국외이식자신고방법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소개
인사말
기관소개
조직소개
찾아오시는 길
개인정보처리방침
장기기증의 필요성
장기기증과 이식
장기기증과 장기이식이란
뇌사기증
사후기증
살아있는 자 간 기증
장기기증 동의
이식대기자 등록 및 이식대상자 선정 기준
장기적출
인체조직 기증과 이식
인체조직 기증이란
인체조직 기증절차
인체조직 이식
인체조직 관리 체계 및 관련기관
조혈모세모 기증과 이식
조혈모세포란
조혈모세포 기증과 이식절차
조혈모세포 채취
조혈모세포 관련기관
조혈모세포 관리
제대혈 기증
제대혈이란
기증 제대혈 보관
가족 제대혈 보관
제대혈 국가관리 체계
제대혈 기증관련 공지사항
기증자 예우
뇌사 장기·인체조직기증자 지원급 지급
가족관리 프로그램
생명나눔 주제 정원 조성 및 생명나눔 주간 운영
생명나눔 증서 발급 및 온라인 추모관 운영
FAQ
본문
홈
>
생명나눔안내
>
인체조직 기증과 이식
>
인체조직 기증이란
인체조직 기증이란
인체조직 기증이란?
인체조직은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제3조에서 정의한 뼈, 연골, 근막, 피부, 양막, 인대 및 건, 심장판막, 혈관, 신경, 심낭 등 11종을 말합니다.
인체조직기증은 다른 사람의 건강, 신체회복 및 장애 예방을 위하여 뇌사 또는 사망 후 자신의 조직 일부를 대가 없이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한 사람의 기증으로 최대 100여명에게 삶의 희망을 나누어 줄 수 있습니다.
인체조직 기증과 장기 기증의 차이점
인체조직 기증과 장기 기증의 차이점
구분
인체조직
장기
종류
뼈, 연골, 근막, 피부, 양막, 인대 및 건, 심장판막, 혈관, 신경, 심낭
신장, 간장, 췌장, 췌도, 소장, 심장, 폐, 안구, 손·팔, 발·다리 등
기증시기
뇌사 또는 사망 후 15시간 이내, 살아있을 때
살아있을 때 혹은 뇌사 시
이식시기
가공 및 보관 거쳐 이식(최장 5년 보관)
즉시 이식
특징
한 사람의 기증으로 최대 백여명이 수혜가능
한 사람의 기증으로 최대 9명이 수혜가능